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딕 호러 소설의 대표작, <드라큘라>

by 하양 고양이 2025. 6. 13.

드라큘라 표지 이미지
<드라큘라> 표지 이미지입니다.

 

 

흡혈귀라는 존재를 대중적으로 각인시킨 작품

브램 스토커(Bram Stoker)의 <드라큘라(Dracula)>는 1897년에 출간된 고딕 호러 소설로, 흡혈귀라는 존재를 대중적으로 각인시킨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다수의 인물들이 남긴 일기, 편지, 신문 기사, 전신 문서 등으로 구성된 독특한 서술 구조를 통해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주인공인 영국 변호사 조너선 하커(Jonathan Harker)는 트란실바니아의 드라큘라 백작(Count Dracula)에게 부동산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방문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조너선은 드라큘라 백작의 성에서 점점 이상한 분위기를 감지하게 되며, 드라큘라의 실체가 인간의 피를 빨아 생명을 유지하는 흡혈귀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조너선은 탈출에 성공하지만, 드라큘라 백작은 이미 영국으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드라큘라는 런던에서 미나 머레이(Mina Murray)와 그녀의 친구 루시 웨스턴라(Lucy Westenra)를 표적으로 삼아 점점 세력을 확장합니다. 루시는 드라큘라에게 흡혈을 당해 결국 뱀파이어가 되고, 이를 알게 된 미나와 그녀의 약혼자 조너선, 반 헬싱 박사(Professor Abraham Van Helsing), 그리고 친구들인 아서 홈우드(Lord Arthur Holmwood), 퀸시 모리스(Quincey Morris), 존 수어드 박사(Dr. John Seward)는 드라큘라를 추적하기 시작합니다.
이들은 드라큘라가 뱀파이어라는 증거를 수집하며, 루시를 안식시킨 후 드라큘라의 흔적을 쫓아 트란실바니아까지 원정을 떠납니다. 드라큘라는 자신의 안전을 위해 런던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지만, 추적자들은 그를 끝까지 쫓아 결국 마지막 순간에 드라큘라를 처단하게 됩니다. 소설의 마지막에서 미나는 드라큘라의 저주에서 벗어나고, 드라큘라 백작의 오랜 지배는 끝이 납니다.
브램 스토커는 <드라큘라>를 통해 인간의 원초적 공포, 이성과 본능의 충돌, 동서양 문화의 충돌 등을 효과적으로 묘사합니다. 흡혈귀라는 존재는 단순한 괴물이 아니라, 당대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도덕, 성, 종교적 가치관을 도전하는 상징으로 그려집니다. 이 작품은 이후 수많은 영화, 연극, 소설의 원형이 되며, 고딕 공포 장르의 결정적인 이정표로 평가받습니다.

 

 

흡혈귀 문학의 결정적 출발점이 된 작품

<드라큘라>는 출간 당시와 현재를 비교할 때 독자들의 평가가 크게 확장되고 깊어졌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초기 독자들은 이 작품을 신선한 공포 소설로 받아들였으며, 특히 드라큘라 백작의 존재에 대해 강렬한 호기심과 공포를 느꼈습니다. 당대 빅토리아 시대 독자들은 루시와 미나를 둘러싼 흡혈의 장면에서 당시 사회가 금기시하던 성적 암시를 읽어내며, 그 이중적인 매력에 주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점은 당시 소설로서는 매우 도전적이고 충격적인 설정이었습니다.
현대 독자들은 <드라큘라>를 단순한 공포 소설로 넘어서, 보다 복합적이고 상징적인 작품으로 받아들입니다. 독자들은 드라큘라 백작이 단순히 악의 존재가 아니라, 문화적 불안, 타자성, 식민주의에 대한 영국 사회의 공포를 상징한다고 해석합니다. 드라큘라가 동유럽 출신이라는 점, 피를 통해 영국인을 오염시키는 설정은 제국주의 말기의 영국이 외부 세계를 얼마나 두려워했는지를 보여주는 요소로 독자들에게 읽힙니다.
또한 독자들은 반 헬싱 박사와 조너선, 미나 등 주요 인물들이 보이는 연대와 용기를 통해 인간 본연의 강인함을 발견합니다. 이 소설은 서신체로 쓰였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 몰입감을 주며,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구성이었지만 오늘날까지도 흡입력을 가진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다만 일부 독자들은 장문의 서술과 반복되는 묘사로 인해 다소 지루하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독자들은 이 작품을 고딕 공포의 필수 고전으로 여기며, 드라큘라라는 캐릭터가 현대 대중문화 속에서 얼마나 상징적으로 자리 잡았는지를 높이 평가합니다. <드라큘라>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오늘날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읽히며 흡혈귀 신화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평론가들은 <드라큘라>를 고딕 소설의 완성형이자 흡혈귀 문학의 결정적 출발점으로 평가합니다. 19세기 후반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적 배경 속에서, 이 소설은 당시 유럽의 제국주의, 동서양 문화 충돌, 성에 대한 억압과 공포를 상징적으로 담아낸 작품으로 분석됩니다. 평론가들은 드라큘라 백작이 단순한 괴물이라기보다, 영국 사회가 두려워하던 '타자'를 대표한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동유럽 출신의 드라큘라가 영국 사회를 침범하며 영국 여성들을 위협하는 설정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또한 평론가들은 이 작품이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을 전복하는 장면들을 통해 성적 긴장감을 극대화했다고 분석합니다. 흡혈의 장면은 당시 사회에서 터부시되던 육체적 접촉을 대리적으로 묘사하며, 드라큘라가 여성의 피를 빨아 육체적 통제를 시도하는 과정은 남성 권력의 욕망과 여성의 억압된 욕망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해석됩니다. 미나 머레이는 당시 이상적인 빅토리아 여성상과 동시에 지적이고 주체적인 모습을 함께 보여주며, 평론가들은 미나의 캐릭터를 통해 여성의 이중적 역할이 부각된다고 설명합니다.
평론가들은 <드라큘라>의 구조적 특징인 서신체 형식에 대해서도 주목합니다. 다수의 인물들이 기록한 다양한 시점을 통해, 독자들은 스스로 이야기를 조합하게 되며, 이는 작품의 몰입도를 극대화하는 장치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구성은 현대 소설 기법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형식으로 평가받습니다. 또한 드라큘라 백작이 항상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고, 공포의 분위기가 점진적으로 쌓여가는 점은 심리적 긴장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사례로 인용됩니다.
20세기 이후 평론가들은 이 작품을 단순한 공포 소설로 한정짓지 않고, 심리학, 페미니즘, 식민주의 비평, 퀴어 이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합니다. 평론가들은 <드라큘라>가 공포의 외피를 쓰고 있지만, 당대 사회의 불안과 금기를 정면으로 드러낸 매우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소설이라고 평가합니다. 이러한 복합적 해석 덕분에 <드라큘라>는 고전 문학으로 자리 잡았으며, 흡혈귀 문학뿐만 아니라 현대 대중문화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인정받습니다.

 


드라큘라라는 불멸의 캐릭터를 남긴 작가, 브램 스토커

브램 스토커(Bram Stoker)는 1847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난 작가로, 그의 본명은 아브라함 스토커(Abraham Stoker)입니다. 어릴 적 병약했던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내며 책을 읽는 데 몰두하였고, 이러한 경험이 훗날 그의 상상력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브램 스토커는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하며 문학, 연극, 철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대학 졸업 후 공무원으로 일했지만, 그는 곧 연극계로 진출하게 됩니다.
스토커는 당시 유명한 배우 헨리 어빙(Sir Henry Irving)과 깊은 친분을 맺으며, 그의 전속 매니저로 27년간 활동하였습니다. 이 시기 동안 스토커는 런던의 라이시엄 극장에서 일하며 연극계와 문학계에 활발히 참여하였고, 여러 문인들과 교류하였습니다. 헨리 어빙과의 관계는 그의 삶에서 매우 중요했으며, 스토커가 <드라큘라>의 드라큘라 백작 캐릭터를 창조할 때 어빙의 강렬한 이미지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고 평가됩니다.
브램 스토커는 생애 동안 다수의 소설, 단편, 논픽션을 집필하였지만, <드라큘라> 외의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드라큘라>는 그가 50세에 발표한 소설로, 출간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작품의 가치는 점점 재평가되었습니다. 특히 20세기 이후 영화와 대중문화에서 드라큘라가 반복적으로 재해석되며, 브램 스토커의 명성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스토커는 공포와 심리 묘사, 고딕적 분위기 조성에 탁월한 재능을 보였으며, 실제로 뱀파이어 전설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며 작품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1912년 런던에서 사망하였으며, 사후 그의 작품들은 흡혈귀 문학의 시초로서 지속적으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브램 스토커는 오늘날 고딕 공포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 잡았으며, <드라큘라>는 그의 유산이 세계 문학사에 깊이 각인되도록 만든 불멸의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