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0

'푸른눈의 중국인' 펄 벅이 담아낸 중국의 현실 <대지> 한 농부의 일생을 통해 인간과 땅, 가족, 중국 근현대사를 담아낸 작품너무 유명한 작품이지만 보통 사람들이 다 읽지 않는 작품 중 저는 다 읽었다고 자부하는 작품이 몇 있습니다. 박경리의 전권과 3부작이 그중 하나입니다. 보통 는 1부만 읽고 나머지는 잘 안 읽죠. 저는 왕룽의 손자 이야기를 담고 있는 3부까지 모두 다 읽었습니다. 두 작품을 언급한 것은 다른 유명한 작품들에 비해 점점 더 완독 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는 점점 평가가 예전 같지 않은 소설 중 하나입니다. 중국 근현대사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에 한 번쯤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펄 벅(Pearl S. Buck)의 대표작 는 20세기 초 중국 농촌 사회를 배경으로, 한 농부의 일생을 통해 인간과 땅, 가족,.. 2025. 7. 23.
<멋진 신세계> 줄거리, 평가, 저자 소개 줄거리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의 소설 는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디스토피아 작품으로, 인간의 자유와 감정을 기술과 통제의 이름 아래 억압하는 세계를 그리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26세기 초반, 철저한 계획 경제와 과학 기술이 발달한 세계국(World State)이라는 가상의 사회를 무대로 삼습니다. 이 사회에서는 인간이 자연적으로 태어나지 않고 인공적으로 배양되고 등급별로 나뉘어 양육됩니다.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입실론의 다섯 계급으로 나뉜 인간들은 각자의 역할에 맞게 설계되고 교육되며, 사회는 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인간의 본능과 감정을 철저히 통제합니다. 사회 구성원들은 '소마(Soma)'라는 마약을 복용하여 슬픔이나 고통을 느끼지 않고, 성관계는 자유롭게 허용되며, 가족.. 2025. 7. 23.
일본 미스터리의 정수, <이누가미 일족> 전후 일본 사회의 혼란을 담아낸 추리소설어릴 때부터 일본 만화와 영화, 소설을 좋아했던 제게는 작은 의문점이 있었습니다. 얼굴에 가면을 쓰고 나오는 인물들이 유독 일본 만화 등에 많이 나오는데, 그 원조가 어디일까? 라는 겁니다. 저의 이런 의문점은 을 읽고 풀렸습니다. (犬神家の一族)은 요코미조 세이지(横溝正史)가 1950년에 발표한 본격 추리소설입니다. 이 작품은 일본 추리소설 역사상 손꼽히는 명작으로, 그의 대표 탐정인 긴다이치 코스케가 활약하는 대표적인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은 유산 상속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기괴한 살인사건을 다루며, 일본 전통적 가족주의와 인간 내면의 탐욕, 증오, 피로 이어진 인연의 비극성을 중점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이야기의 시작은 일본의 부유한 실업가 이누가미 사헤에가 .. 2025. 7. 22.
톨스토이의 3대 걸작 <부활> 인간 내면의 도덕적 갱생과 신앙적 부활을 그린 소설(Resurrection)은 톨스토이(Leo Tolstoy)가 그의 만년인 1899년에 발표한 장편 소설입니다. 은 , 와 함께 톨스토이의 3대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러시아 제정 말기 사회의 부패와 종교적 타락, 인간의 내면적 구원이라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실제로 톨스토이가 감옥 개혁에 관심을 가지며 접하게 된 실화를 바탕으로 쓰였으며, 그의 종교적·도덕적 신념이 뚜렷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 소설의 중심 인물은 귀족 청년 네흘류도프입니다. 그는 젊은 시절 하녀였던 마슬로바를 유혹해 순결을 빼앗고, 그 뒤 그녀를 내버려두고 떠나버립니다. 이후 마슬로바는 사회 밑바닥으로 떨어져 결국 매춘부가 되고, 우연히 살인죄로 기소되.. 2025. 7. 22.
존 스칼지의 다크 판타지, <신 엔진> 다크 판타지와 우주 종교, 정치적 음모가 결합된 소설을 읽고 을 읽으시는 분들은 너무 달라진 분위기에 놀라실 것 같습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처음 책 소개를 읽고 흥미로운 발상이라 생각했습니다만, 책을 실제 읽고는 생각보다 더 암울한 내용이라 놀랐습니다. 저는 상상력이 상당히 기발한 소설이고, 현재의 종교를 비판하는 것 같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The God Engines)은 존 스칼지(John Scalzi)가 2009년 Subterranean Press를 통해 발표한 중편 소설입니다. 이 작품은 존 스칼지가 기존에 보여준 유머러스한 군사 SF와는 전혀 다른 색깔을 지닌 작품으로, 다크 판타지와 우주 종교, 정치적 음모를 결합한 독특한 분위기의 이야기입니다. 세계관부터 매우 충격적이고 독창적인데, 이.. 2025. 7. 22.
하루키 월드의 보석, <노르웨이의 숲> 청춘과 사랑, 상실, 죽음과 성장이라는 테마를 섬세하게 그려낸 소설'상실의 시대'라는 제목은 90년대에 20대를 보낸 사람들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 처음 한국에 번역될 때 '상실의 시대'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고, 그 제목에 끌려 20대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기 때문입니다. 왜 번역판 제목이 상실의 시대가 되었을까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제가 추측하기에 비틀스의 노래에서 따온 '노르웨이의 숲'이라는 제목이 당시 한국 독자들에게 크게 와닿지 않을 것이라 판단했을 수 있습니다. 90년대에 20대를 맞이한 한국 젊은이들에게 비틀스의 의미는 일본에서 이 책을 읽는 독자들과 같은 의미로 다가가지 않았을 테니까요. 아마 첫 출간 때 원제를 그대로 번역해서 냈다면 베스트셀러가 안 됐을지도 모르겠습니다... 2025.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