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0

고딕 호러 장르의 대표작, <힐하우스의 유령> '유령의 집'을 다룬 공포소설 장르의 고전유령의 집 이야기를 좋아하시나요? 저는 정말 좋아한답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전설의 고향 스타일의 괴담이나, 유럽 고성에서 나오는 유령 이야기 같은 걸 정말 좋아했습니다. 그중 유령의 집, 유령의 성 이야기를 참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을 정말 기대하며 읽었습니다. 제가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지만, 정말 오싹한 내용이었습니다. 명확하게 유령이 등장하지는 않습니다. 아니, 등장한다고 할까요? 그게 유령인지, 엘리너의 망상 속에서 벌어지는 일인지가 명확하게 밝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더 오싹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유령의 집을 소재로 한 공포소설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정말 좋아하실 내용입니다. 꼭 읽어보세요.셜리 잭슨(Shirley Jackson)의 소설 은 고딕 호러 장.. 2025. 7. 9.
반전(反戰) 소설의 고전, <영원한 전쟁> 시간 왜곡이라는 SF 설정을 통해 전쟁의 무의미함을 보여주는 소설저는 전쟁을 다루는 소설은 두 가지 목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는 전쟁이라는 원초적인 행위에서 오는 재미입니다. 고대부터 전쟁은 절망의 순간이면서 쾌감을 주는 행위이기도 했습니다.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여러 전략을 짜고, 적을 굴복시키는 과정을 '죽음의 위험에서 벗어난 곳'에서 보는 건 재미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대부터 전쟁을 다룬 서사시나 문학 작품이 인기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전쟁을 다룬 게임도 인기가 있죠. 또 하나의 목표는 전쟁의 참혹함을 알려 '반전(反戰)'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입니다. 전쟁을 실제 경험한 사람들이 남긴 수기들을 읽어보면 전쟁이 얼마나 참혹한 일인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재미를 다루는 전쟁 소설에서.. 2025. 7. 8.
사람이 남긴 공간의 기억에 찾은 공포, <잔예>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공포의 흔적에 대한 두려움을 주는 소설공포란 무엇일까요? 저는 공포란 '알 수 없는 무언가'에서 온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아직 야생에서 살고 있던 시대부터, '알 수 없는 무언가'는 무엇인지 알지 못했기 때문에 공포스러울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만약 공포라는 감각을 못 느꼈다면, 처음 보는 '알 수 없는 존재' (독뱀일수도, 독초이거나, 사람을 잡아먹는 야수일수도 있겠죠)에 죽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험이 우리 유전자에도 남아 지금 인간이 느끼는 공포라는 감정의 기초가 되었을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정말 오싹한 소설입니다. 제가 읽은 공포소설 중 최상위의 공포감을 선사해 주는 소설이라 생각합니다. 보통 원한을 가진 귀신이 나오고, 그 원한을 풀어주면 해결되는 한국.. 2025. 7. 7.
시간여행으로 공룡 멸종의 이유를 밝히다 <멸종> 과학적 사고의 한계와 우주적 진실에 탐구심을 그린 소설시간여행에 대해 한 번이라도 생각 안 해보신 분이 있을까요? 저는 어릴 때부터 시간여행을 다룬 소설이나 영화를 좋아했습니다. 과거로 여행을 떠날 수 있다면, 중세 유럽을 가보고 싶었습니다. 영화에서나 소설에서 본 중세 유럽은 기사와 공주가 있는, 모험의 시대였습니다. 그래서 어릴 때는 한 번 가보고 싶었습니다. 지금은 중세 유럽으로 시간여행을 떠나기에는 두려움이 먼저 떠오르네요. 요즘은 고대 이집트나 중국의 고대 국가인 상나라로 시간여행을 해보고 싶습니다. 고대 국가의 신기한 유물에 얽힌 진실을 직접 확인해보고 싶기 때문입니다. 은 타임머신을 통해 공룡이 활동하던 백악기 시대로 탐험을 떠나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그 내용에는 뜻밖의 진실이 숨겨져 있습니.. 2025. 7. 6.
인간의 기원에 대한 도발적 상상, <별의 계승자> 외계문명기원설을 하드 SF로 풀어낸 소설인류의 기원이 저 먼 우주라는 '외계문명기원설'은 이제는 클리세처럼 익숙하지만, 처음 나왔을 때만 해도 정말 충격적이었습니다. 제가 어릴 때 그레이엄 헨콕(Graham Hancock)의 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외계문명기원설에 관심이 폭발했었습니다. 지금도 외계문명기원설은 여전히 재생산되고 있습니다. 잉카나 마야의 거석문화에 남겨진 벽화에 외계인을 상징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거나, 이집트 벽화에 외계인의 그림이 있다 등의 가설을 이야기하며 상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습니다. 저는 어릴 때만큼은 아니지만, 지구의 생명체가 우주에서 왔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일부 음모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외계문명기원설을 믿는 것은 아닙니다. 지구가 탄생한 직후, 외계에서 날.. 2025. 7. 6.
과학적 상상력의 극한, <타우제로> 상대성 이론과 우주물리학으로 상상하는 인간 문명의 존재 의미SF 장르를 즐기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스페이스오페라 작품들을 보며, 우주공간이나 미래 세계에서 펼쳐지는 활약을 보며 오락적인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체역사 작품들을 읽으며,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세계의 역사가 어느 기점을 중심으로 바뀌었다면 지금 삶이 어떨지 상상해 보는 즐거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밝혀진 과학의 영역을 극한으로 몰아붙여, 과학의 경이감을 표현한 하드 SF 작품들도 있습니다. 저는 를 읽으며, 상상력의 극한을 엿본 느낌이었습니다. 속도제어장치가 부서진 아광속으로 달리는 우주선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상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저는 이 작품을 읽기 전에는 상상해 본 적이 없습니다. 이 작품이 발.. 2025. 7. 5.